◈ Linux Sub Hosting Setting - Virtual Host | ||||
| ||
| ||
http://www.bloging.co.kr |
시작하기 전에... | ||||
넘의 개인 홈페이지 http://www.twiworld.net 의 가상 호스트를 추가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진행합니다.
가상 호스트 네임은 tuningup 입니다
처리 방법 | |||||
1. 사용자 ID, 패스워드 생성하기
[root@w... ~]# useradd tuningup
[root@w... ~]# passwd tuningup
Changing password for user tuningup.
New UNIX password:
Retype new UNIX password:
passwd: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.
2. 사용자 호스팅용 홈디렉토리 구성하기
[root@w... ~]# mkdir /home/tuningup/html
[root@w... ~]# cp index.html /home/tuningup/html
[root@w... ~]# chmod 701 /home/tuningup
[root@w... ~]# chown -R tuningup:tuningup /home/tuningup
| ||
| ||
http://www.bloging.co.kr |
* 여기까지 설정되면 FTP까지 설정이 됨 - FTP ID, P/W는 사용자 ID, P/W와 동일
* 작업을 실행한 폴더에 index.html 파일이 없으면 오류가 난다.
3. DNS에 사용자 도메인 설정하기
[root@w... ~]# vi /var/named/twiword.net.zone
4. twiword.net.zone vi 내용편집 - 맨 마지막 라인에 추가
tuningup IN A 1 .1 .host
| ||
| ||
http://www.bloging.co.kr |
* vi 명령어
i (편집)
/검색어 (검색어로 문서에서 검색)
:$- (문서의 마지막행)
:q (나가기)
:wq (저장하고 나가기)
:q! (저장하지 않고 강제로 나가기)
5. 네임서버데몬 스크립트를 다시 시작하기
[root@w... ~]# /etc/rc.d/init.d/named restart
| ||
| ||
http://www.bloging.co.kr |
6. 가상 호스트 설정하기
[root@w... ~]# cd /usr/local/apache/conf
[root@w... conf]# vi virtualhost.conf
7. virtualhost.conf vi 내용편집 - 맨 마지막 라인에 추가
<VirtualHost 1 . 8.host:80>
ServerName Tuningup.twiworld.net
DocumentRoot /home/tuningup/html
</VirtualHost>
* vi 명령어
v를 누르고 box를 만든 후에 yyp를 누름(복사)
P (커서 앞에붙이기)
8. Apache 데몬을 재시작하기
[root@w... ~]# /usr/local/apache/bin/apachectl stop
/usr/local/apache/bin/apachectl stop: httpd stopped
[root@w... ~]# /usr/local/apache/bin/apachectl start
/usr/local/apache/bin/apachectl start: httpd started
| ||
| ||
http://www.bloging.co.kr |
여기까지 완료되면 기본적인 서브(가상) 호스트는 마무리된다.
html 밑에 index.html 페이지를 만들어주면 웹상에서 홈페이지 첫페이지가 화면에 나타난다.
* 서브(가상) 호스트란?
아주 쉽게 말하자면 하나의 IP 상에 여러개의 도메인을 구성하는 것이다.
웹 서버에서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주 호스트와는 별도로 설정에 의해 추가된 웹호스트를 말한다.
한 대의 컴퓨터나 IP 주소로서 여러 도메인의 웹 서버를 운영하려고 할 때 사용한다.
| ||
| ||
http://www.bloging.co.kr |
덧글